연봉은 많은 사람들이 직장에서 받는 보수의 총합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받는 금액, 즉 실 수령액은 연봉과는 차이가 있죠. 이 글에서는 2024년 연봉실수령액 계산기와 그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봉실수령액 이란?
연봉은 한 해 동안 직장에서 받는 총 급여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본급, 보너스, 기타 수당 등을 모두 포함한 금액입니다. 여기서 실 수령액은 연봉에서 세금 및 기타 공제 항목을 제외한 실제로 받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즉, 월급으로 계좌에 입금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세금 및 기타 공제 계산법
근로자 기준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 장기요양 12.95%, 고용보험료 0.9%,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내야합니다.
사람인 연봉계산기 바로가기
2024년 연봉실수령액 표
연봉 2000만원 / 3000만원대 실수령액
연봉 2000만원 근로자는 월급세전으로는 1,666,667원으로 세후 실 수령액은 1,496497원 입니다.
2024년 연봉실수령액표에서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2024년 연봉은 대략 2500만원이 조금 안됩니다.
월급으로 200만원을 넘게 받길 원한다면 최소 연봉이 2,700만원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연봉 3000만원이 넘으면 실수령액이 2,248,340원부터 시작하여 연봉 3900만원이여도 285만원대로 200만원대의 월급을 받게 됩니다.
연봉 3000만원은 사회초년생이 가장 많이 초봉 받는 구간이 아닐까 합니다.
연봉 4000만원 / 5000만원대 실수령액
내 월급이 300만원 이상이 되려면 연봉이 약 4200만원 이상이 되어야 되어야 하는것을 표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연봉이 4000만원까지 올라가게 된다면 공제금액이 40만대로 올라가서 4대보험이나 연금, 소득세가 이때부터 체감이 확 오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연봉이 5000만원까지 올라가게 되어도 월급 실제수령액이 400만원이 되려면 최소 5,800만원 이상이여야지 가능합니다.
중소, 중소기업에서는 과장, 차장급이 되어야지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아닐까 합니다.
연봉 1억원대 실수령액
연봉이 1억대로 넘어가게 되면 실 수령액이 650이상이 됩니다. 이때부터 소득세는 한달 100만원이 넘어가게 되며, 세전 월급에서 거의 200만원에 가까운 세금및 공제를 내야합니다. 역시 직장인들의 지갑이 유리지갑이다 라는 말이 나올만큼 세금을 엄청나게 떼는걸 볼 수 있습니다.
연봉계산기
사람인 연봉계산기 바로가기 네이버 연봉계산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