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 데였을때 대처법과 주의점 (구강작열감증후군)



혀가 데였을때 어떻게 대처하십니까? 우리는 살다보면 한번쯤은 혀를 데였는 경험이 있을것입니다.

혀에 화상을 입었을 때의 통증, 입안에서 느껴지는 작열감, 혀를 데였을때의 대처법과 주의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혀 데였을 때 대처법


혀 데였을때 즉시 할 수 있는 대처법으로 찬물을 마시거나 얼음조각을 입에 넣고 굴리거나, 통증을 완화하는 구강 외용젤리나 세정제를 사용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약국에 파는 진통제도 효과적입니다. 혀가 완전히 회복하는데는 약 2주정도 소요될 수 있으며, 이 기간 동안 구강 위생을 유지하는것이 좋습니다. 치유동안은 매운음식, 신 음식, 딱딱한 음식을 피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혀가 회복되는동안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구강 내 위생상태를 잘 유지해주고 부드러운 칫솔질을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만약 2주가 넘게 낫지 않는다면 전문가와의 상담이 꼭 필요합니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이란?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구강 내에서 불쾌하거나 뜨거워지는 느낌을 경험하는 상태입니다. 이 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혀가 데이기 쉬운 뜨거운 음식
혀 데였을때 대처법과 주의점 (구강작열감증후군) 3

 

  • 구강 조직의 손상

구강조직에 손상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잇몸염, 구강 점막염, 상처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신경성 구강증후군

신경성 구강증후군은 신경 섬유가 과민하게 반응하여 구강 내 작열감을 일으키는 상태입니다. 이를 신경성 치통이라고 흔히 부릅니다.

  • 알레르기 반응

몇몇 사람들에게서는 구강 내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열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구강 건조증

구강 내 건조는 구강 조직을 날카롭게 만들고, 이로 인해 작열감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구강 건조는 약물 부작용, 건강이 좋지 않거나, 수면 부족등으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혀 데였을때 주의점


민간요법은 일시적인 완화를 일으킬 수는 있지만, 혀가 데였을 경우 특정 행위를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혀 데였을때 얼음 냉각
혀 데였을때 대처법과 주의점 (구강작열감증후군) 4

 

  • 과냉각 피하기

혀에 화상을 입었을 때는 찬물을 마시거나 얼음으로 식히지말고 얼음조각을 입에 넣어 굴리며 화상을 완화해 줍니다. 하지만 화상부위에 너무 오랫동안 대고 있으면 조직을 손상시키고 치유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혀가 완치될때까지 약 2주 동안은 자극적인 매운음식, 신 음식, 딱딱한 음식은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뿐만아니라 술이나 담배도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 알코올 구강청결제 금지

알코올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구강청결제는 화상을 더욱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무 알콜 구강 청결제를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혀를 데였을때 오랫동안 화상이 낫지 않거나 입 안이 계속 뜨거워 지는 구강작열감의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전문가의 소견을 받는것이 좋습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별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 수 : 0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