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이나 신입사원의 초봉이 평균 3000만원대 부터 시작하지요. 연봉이 3000만원, 4000만원이면 꽤 큰 금앤인것 같지만 이것저것 세금 공과금 등을 제외하고나면 월급이 작아지는것을 느낄겁니다. 이글에서는 내 연봉 실수령액 대해 상세하게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Toggle연봉 실수령액과 월급
기본적으로 근로자는 회사와 매년 연봉 협상을 합니다. 처음 입사하는 경우 “연봉 계약서”라는것을 작성합니다.
여기서 간과하시는것들이 연봉은 1년에 내가 벌어들이는 총 합체이므로 12개월로 나눠서 매월 같은 금액을 지급하지 않는경우가 많습니다.
보통은 상여금이나 보너스 등으로 분할지급합니다. 이점 계약할 때 꼼꼼하게 계약서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연봉 실수령액 세금
세전 월급은 공제 전 금액에 해당합니다. 세전 월급에서 정부에 납부해야 할 세금을 공제한 후 통장에 입금되는 실제 세후 월급입니다.
월급에 대한 세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국민연금 4.5%
- 건강보험 3.545% (x12.95% 요양보험)
- 고용보험 0.9%
- 근로소득 구간에 따른 차이발생(x10% 지방소득세)
연봉 3000
사회초년생이 가장 많은 연봉 3000만원대 입니다.
연봉 3000만원 월급 실수령액은 224만원 정도입니다.
연봉 3500만원 월급 실수령액은 258만원 정도입니다.
연봉 3900만원 월급 실수령액은 285만원 정도입니다.
연봉 4000
연봉 4000만원 월급 실수령액은 290만원 정도입니다.
연봉 4200만원 월급 실수령액은 300만원 정도입니다.
연봉 4900만원 월급 실수령액은 348만원 정도입니다.
연봉 4000만원이 되어도 세후 월급이 300만원대가 되지 않고, 4200만원이 되어야 세후 월급이 300만원을 넘는 수준입니다.
월급 실 수령액을 보면, 요즘 물가에 턱없이 부족하지 않을까 생각도 듭니다.
연봉 5000
연봉 5000만원 월급 실수령액은 350만원 정도입니다.
연봉 5500만원 월급 실수령액은 380만원 정도입니다.
연봉 5800만원 월급 실수령액은 400만원 정도입니다.
연봉 5800만원이 넘어야 실수령액이 400만원이 넘습니다.
내 연봉 계산하는법에 대해서는 아래 글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24년 연봉실수령액 계산기 활용법
함께 읽으면 좋은글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별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 수 : 0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이 지면은 본문이 생략된
화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