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은행에서는 퇴직자들을 위한 퇴직연금 금융상품으로 다양한 퇴직연금 수령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은 일시금으로 한번에 받는 방법과 일정기간에 거쳐 연금 방식으로 나눠서 받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두 가지 모두 개인의 계획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혼합 방식도 가능합니다.
퇴직연금 신청 바로가기👉퇴직금 계산기
나의 퇴직연금 계산을 먼저 계산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을 정확히 계산하고 계획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퇴직금 계산기를 먼저 꼭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퇴직금 계산기는 본인의 근속연수, 평균 임금, 그리고 회사 정책에 따라 예상 퇴직금을 간단히 계산가능합니다.
퇴직금 계산식은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365) = 퇴직금 입니다.
아래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계산 가능합니다.
퇴직금 계산기👉광주은행 퇴직연금 수령방법
퇴직연금을 수령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첫번째는 일시불 수령, 두번째는 연금 방식으로의 수령입니다.
일시금 수령 | 퇴직 시 한번에 전액을 수령하는 방법 |
연금 수령 | 매월 혹은 분기별로 나눠서 받는 방법 |
광주은행 IRP 계좌를 만들어서 퇴직금을 받을 경우에는 기업은행 어플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간단하게 퇴직금 수령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는 은행에 방문하셔도 퇴직연금을 수령받을수 있습니다. 퇴직금을 수령하셨다면, IRP 계좌를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해지 하실 수 있습니다.
- IRP 퇴직연금 계좌 계설
- 직장 담당 부서에 서류 제출
- 퇴직금 수령
- IRP 계좌 해지하기
퇴직연금을 수령하실때는 3.3% 연금소득세로 부과받을 수 있으니 은행별로 꼼꼼하게 따져서 퇴직연금 계좌를 개설하시면 좋습니다.
광주은행 홈페이지 바로가기👉 광주은행 어플 바로가기(안드로이드)👉 광주은행 어플 바로가기(아이폰)👉IRP 계좌 개설 시 세액 공제 혜택은 어떻게 되나요?
IRP 계좌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납입 시, 16.5%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700만 원을 납입하면 약 115만 원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셈입니다. 단, 세액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IRP 계좌에 일정 금액을 납입해야 하며, 공제받을 수 있는 한도 내에서만 가능합니다.
IRP 계좌와 연금저축 계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IRP 계좌는 퇴직금을 이체하거나 추가 적립을 통해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퇴직 후 연금이나 일시불로 수령 가능합니다. 연금저축 계좌는 개인이 자발적으로 납입하여 세액 공제를 받으며, 연금 형태로만 수령해야 합니다. IRP는 퇴직금 이체가 가능하고, 연금저축은 개인 적립에 중점을 둡니다.